목록설명 (73)
안경잡이 구루루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zLzz/btqE6kT5W1x/1KnRALJsNDSLOeE2SKoiQK/img.png)
나: 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N): OX= input() OX= OX.upper() score =0 plus =1 for k in range(len(OX)): if OX[k] == 'X': plus =1 score +=0 elif OX[k] == 'O': score += plus plus +=1 print(score) 완성된 코드는 위와 같다. 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N): OX= input() OX= OX.upper() score =0 plus =1 우선 OX 문자열을 몇개 만들지 N을 통해 입력값을 받는다. for 반복문을 만들고 이때 N개수만큼 반복하며 OX 문자열을 받는다. 입력 예시를 보니 모두 대문자이기 때문에 upper 사용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U4Avm/btqE4redQVy/wGMJ8jk1kyptHk6GW53Gq0/img.gif)
고대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만들어 낸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. 이 방법은 체로 치듯이 수를 걸러낸다고 해서 '에라토스테네스의 체' 라고 불린다.소수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이 방식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소수를 빠르게 구할 수 있다. 먼저 나무위키, 위키백과의 그림을 참고하자. 간단히 위 그림을 설명하자면 1과, 2, 3, 5, 7의 배수인 수들을 모두 제거하면 소수만 남게 된다.어떻게 이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을까? 라는 질문이 나올 수 있다. 우선 소수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.소수란 1과 자기 자신 이외에 약수를 가지는 합성수이다. 그렇다면 여기서 위의 원리를 유추할 수 있다.즉 1과 자기 자신 이외에 약수를 가지게 되는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7kb6/btqE2u3DZzd/F8Ibe5mK1zbKT3pwMEuOPK/img.png)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546 나: N = int(input()) score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score.sort() Maximum = score[N-1] new_score = [] for i in score[:N]: new_score.append( i / Maximum *100) print(sum(new_score) / N ) 완성된 코드는 위와 같다. N = int(input()) score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score.sort() Maximum = score[N-1] new_score = [] 정수형 자료형으로 입력값 N을 받는다. 예제 입력처럼 입력값을 빈칸을 키준으로 나눠 lis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KM2J/btqE2vnN8ih/dKpJ8Cfa18S6VS01kzRlP0/img.png)
나: nlist=[] for i in range(10): num= int(input()) nlist.append(num % 42 ) print(len(set(nlist))) 완성된 코드는 위와 같다. 입력값의 개수는 10개로 정해져있으니 for 반복문을 range를 사용해 10번 반복한다. 그때 마다 입력값을 받고 그 받은 값을 %42로 나머지 값을 구한다. 이때 받은 나머지는 nlist에 저장시킨다. nlist에는 중복된 값도 존재 하기 때문에 집합 자료형 set을 이용해서 nlist의 중복값을 없앤다. 이후 중복값을 없앤 nlist의 개수를 print해서 출력한다 다른사람: https://claude-u.tistory.com/105 num_list = [] rem_list = [] for i in r..